마이크로소프트는 2022년 06월 15일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IE는 윈도우 역사와 함께 꽤 오래전부터 사용했던 브라우저였는데 조만간 역사 속으로 사라질 예정입니다.
IE 서비스 종료 후에 즉각 사라지진 않고 윈도우 XP, 7과 마찬가지로 임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브라우저 업데이트 (보안패치)가 지원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보안에 매우 취약한 상태로 불안정하게 사용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서비스 종료 후에 자동으로 엣지(Edge) 브라우저로 전환된다고 밝혔습니다. 엣지(Edge) 브라우저 역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직접 만든 윈도우 기본 브라우저로 굳이 따지자면 IE가 새롭게 변모한 형태로 이해하셔도 될 거 같습니다. 현재 서비스 종료된 윈도우 7 운영체제에서도 엣지 브라우저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인터넷 익스플로러 서비스 종료 후에 Active X관련 문제로 IE 브라우저를 이용해야 되는 상황이라면 엣지 브라우저에서 제공되는 IE모드를 사용해서 문제없이 로드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IE모드는 2029년까지 지원된다고 합니다.
현재 IE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아직 서비스 종료까지 약 1년이라는 시간이 남아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미리 다른 웹 브라우저 넘어가 적응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만약 엣지 브라우저 사용을 원하지 않으면 '구글 크롬 (Google Chrome), 네이버 웨일 (Whale), 파이어폭스(Firefox), 사파리' 등의 브라우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파리는 맥 OS 브라우저로 윈도우 사용자에겐 맞지 않습니다. 파이어폭스는 좋은 브라우저이지만 국내 사용자가 매우 적은 편이고, 그런 만큼 관련된 정보 또한 매우 적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진 않습니다.
어떤 브라우저가 좋을까?
저는 구글 크롬 (Google Chrome) 혹은 네이버 웨일 (Naver Whale)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구글 크롬 브라우저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밀어내고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웹 브라우저로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크롬에서 IE 관련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엣지 브라우저와 마찬가지로 IE 작업 환경으로 로드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웨일은 네이버에서 만든 크로미움 기반의 웹 브라우저입니다. 우리나라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포털이 네이버인 만큼 국내 사용자에게 최적화되어 평이 매우 좋습니다. 이 브라우저의 구글 크롬을 기반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크롬 브라우저에 익숙한 사용자는 바로 적응할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합니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 Active X가 적용된 IE용 웹 페이지를 이용하고 싶다면 '플러그인 호환' 모드를 이용하면 됩니다. 웨일 역시 크롬과 마찬가지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기본 브라우저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다양한 기능을 설치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IE 브라우저의 종료는 아쉬운 소식이지만 이미 엣지가 등장하면서 뒷방 신세로 전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점차 업데이트와 지원을 종료할 것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미리미리 다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면서 충분한 적응 기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